회계, 재무관리, 생산운영관리, 인적자원관리, 마케팅
생산운영관리
OR : operations research (계량경영기법)
계량경영은 계량경제의 발달과 같이, 컴퓨터의 대두로 경영의 숫자적 파악 및 분석이 가능해짐에 따라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계량경영은 종래의 직감·육감적 경영에 정반대되는 것이다.
MS : management science(경영과학)
경영과학은 경영결정문제에 대한 과학적인 해결법을 개발함과 동시에, 의사결정의 기술로서 수학적 수법을 적용하여 문제에 대한 최적해(最適解)를 도출해 내는 결정 룰(decision rule)을 개발하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그리고 결정 룰을 컴퓨터 프로그램화함으로써, 최적의 의사결정의 자동화가 이루어진다.
MIS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경영정보체계)
기업 경영에서 의사결정의 유효성을 높이기 위하여, 경영 내외의 관련 정보를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그리고 대량으로 수집·전달·처리·저장·이용할 수 있도록 편성한 인간과 컴퓨터와의 결합 시스템.
지식경영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지식이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발굴하여 조직 내 보편적인 지식으로 공유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문제해결 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경영방식을 말한다. 이는 조직 내 지식의 활발한 창출과 공유를 제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적자원관리
피라미드→네트워크(Team이라는 자율적인 집단)
전략적 제휴(strategic alliance)
전략적 제휴는 상호협력을 바탕으로 기술·생산·판매·자본 등 기업 기능의 모든 부분에 걸쳐 2개 또는 다수의 기업이 제휴하는 것을 말한다.
학습조직
학습조직이란 급변하는 경영 환경 속에서 승자로 살아남기 위해서는 조직원이 학습할 수 있도록 기업이 모든 기회와 자원을 제공하고 학습 결과에 따라 지속적 변화를 이루어 조직, 즉 학교의 모습을 지녀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지식창출, 지식공유
리엔지니어링 : Reengineering
업무재구축’이라는 말로 번역되는 비즈니스 리엔지니어링은 인원삭감, 권한이양, 노동자의 재교육, 조직의 재편 등을 함축하는 말로서, 비용·품질·서비스와 같은 핵심적인 경영요소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영과정과 지원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기법이다. 한마디로 기업의 근본적인 체질개선을 위해 기업공정을 획기적으로 다시 디자인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와는 다르게 현재체계는 소비자(consumer), 경쟁(competition), 변화(change)가 화두
그래 Task orientation(분업/일시적) → Process orientation(연결/공조/지속적)
마케팅 “EXCHANGE"
상품과 용역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원활히 이전하기 위한 비즈니스 활동을 말한다. 소비자는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 상품을 원하는 가격에 원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시기에 구입하고자 한다. 한편 생산자의 입장으로는 대량생산에 의한 많은 표준화된 상품을 낮은 비용으로 빨리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생산자와 소비자의 희망을 결합해서 능률적인 공급을 하는 것이 마케팅이다.
마케팅 분야
○촉진(promotion) -AD(광고) 매체, 직접적 단기적 효과 -Public Relations(PR) 간접적 장기적 효과 -Sales Promotion(판매촉진) -Personal Selling(직접 판매)
촉진의 4가지 활동을 통합 관리 하는 것 = IMC
○광고
○가격
○제품(product) -신제품개발 -(기존)제품관리
○소비자행동
○유통 -물류(physical distribution) 물적 유통(Physical Distribution)을 줄인 말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의 흐름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유통개념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재화와 서비스를 이전시키고 장소와 시간·소유의 효용을 창조하는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반해 물류는 소유의 효용을 만족시켜주는 거래를 제외한